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4

2023. 8. 11. 23:53레포트

3. 유사개념 : 세계관과의 비교-대조

 

이데올로기와 가장 유사한 개념 중 하나는 세계관(Weltanschauung)일 것이다. 세계관은 형이상학적 관점에서의 세계에 관한 통일적 파악을 뜻하는 것으로 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실천적ㆍ정서적 측면까지를 포함한 포괄적 세계의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에 대한 파악이 목적임을 고려할 때 정치과학(이론)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나 세계관에서의 세계는 파악의 대상으로 파악의 주체와 유리된 객체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자신이 세계를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 역사적 현실 속에서 세계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세계관을 형성함을 통해서 세계를 바꾸어나간다. 행동과 실천을 전제로 한 점에서 이데올로기와 맥이 닿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데올로기와 세계관은 확실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세계관은 명백히 공식화되지 않으며, 이러한 공표가 권위를 가지는 경우가 적다. 따라서 다른 세계관에 대해서 이데올로기만큼 폐쇄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줄리안 프렁(Julien Freund)의 말처럼 세계관을 기초로 도당이 형성되지는 않는다. 또한 세계관은 내적 구조가 다원적이여서 체계적으로 통합되지 않는 편이다. 따라서 세계관 자체 내에서는 다양한 행동 지침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지침 중 몇몇은 서로 상충되지만 같은 세계관 내에서 평화롭게 수용된다. 하지만 특정 쟁점에 따라서 세계관 내부적으로 모순과 내적 갈등을 겪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특성에 말미암아 세계관은 그 신봉자들에게 한결같은 방향으로의 행동을 요구하거나 그 행동 계획에 대한 강한 헌신을 요구하지는 못한다.

 

 

 

4. 유사개념 : 신조(교의)의 비교-대조

 

신조(creed)는 종종 이데올로기로 변해 그 신봉자에게 강한 행동을 요구하기도 한다. 신조는 교회용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래의 의미는 신앙개조(信仰箇條)의 준말로 종교의 교리의 요체(要諦)를 뜻하는 말이지만 지금은 같은 믿음을 가진 사람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하나의 기치로 작용하며 사람들의 삶과 행동의 방식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원칙이나 의견을 뜻한다. 신조는 강한 배타성을 가진 조직을 만들고 행동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역시 명백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신조의 경우 현실과 맺는 관련성이 단편적이고 간헐적이다. 따라서 보편적인 포괄성을 지닐 정도의 광범위함을 가지지 못한다. 또한 누구나 자신의 행동 지침으로서 원하는 내용을 신조에서 끌어날 수 있고 그것이 그들에게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지적으로 일관되고 체계적 구성되지 못한다. 반이데올로기는 특정한 집단이나 조직을 초월한 실체를 대변한다고 주장하며 보다 광범위한 사람들을 위한 하나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행동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신조처럼 특정 종교나 계파의 집단에게 호소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 인간 일반에게 호소한다. 또한 세계에 대한 설명이나 행동의 지침을 제공함에 있어서 이데올로기는 신조에 비해 보다 더 체계적이고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특성으로 이데올로기는 그 발생과정에서 주류(중심적) 제도체계나 가치체계의 지배자나 관리자의 지지를 받지 못하며 탄생한 것이 보통이다. 반면 신조의 경우 사회의 기존 질서를 수용하거나 긍정하는 역할은 수행하기 위해 탄생한다. 따라서 중심적 제도체계와 가치체계의 운영에서의 엘리트 집단은 신조를 의도적으로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때때로 중심적 가치체계로부터 소외된 신조들이 이데올로기의 속성을 가지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5. 유사개념 : 강령의 비교-대조

 

 

강령(platform)의 사전적인 정의는 정당ㆍ노동조합 등 단체의 기본적 정책과 방침, 운동의 순서나 전략ㆍ전술 등을 요약하여 열거한 것을 뜻한다. 이때 요구되는 행동은 특별히 제한된 목적을 추구한다. 세계관 속에 함축되어 있고 신조에 명시된 내용이 핵심적으로 정리된 것이 강령이라고 할 수 있다. 강령은 강한 행동을 요구하지만 그 이유와 대의에 대한 설명이 없다. 이데올로기는 현실 사회에 대한 체계적 설명과 이를 통한 가치판단을 통해 필요한 행동들을 도출하지만 강령에서는 전술적인 차원에서의 이유만 제시된다. 또한 이데올로기에서는 앞서 상술하였듯 인류 전반의 이익을 이상으로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나 강령에서는 특정한 집단의 이익을 목적으로 추구한다.

 

 
* 개인 레포트 자료입니다. 무단 복사 및 퍼가기를 금합니다.

'레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6  (0) 2023.08.13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5  (0) 2023.08.12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3  (0) 2023.08.01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2  (0) 2023.08.01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1  (0) 202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