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치(5)
-
청년세대와 정치 5
4. 청년세대의 정치 현재의 세계는 시장 경제체제와 자본주의 질서의 지배 하에 있다. 완전경쟁ㆍ자유경쟁의 개념은 이상적 개념으로 모든 주체들이 시장에서 강제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이윤을 얻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제도가 보장된 체제 말한다. 이러한 체제의 시장이 보이지 않는 손을 통해 경쟁의 과정에서 모두에게 이익을 준다는 생각으로 어떤 특정한 의도를 가진 국가나/단체의 개입은 결국은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한다. 시장에서의 각 개인들이 주어진 시장에서 자유롭게 경쟁할 수 있어야 사회 전체나 각 개인들에게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한다. 자유로운 경쟁이 보장된 환경에서 생존하고 또 유리한 지위에 오르기 위해서는 실력이 필수적이다는 생각이 나타났다. 따라서 실력의 차이에서 비롯된 불평등이..
2023.07.30 -
청년세대와 정치 4
3. 청년세대의 시대적 체험 청년세대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있어서 기존의 대중적 청년담론이 지닌 한계는 명확하다.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하였던 세대에 대한 정의에 기반하여 이들이 가치관을 형성하게끔 했던 시대적 체험이 어떤 것이 있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이 최근까지도 급격한 사회변화를 경험하고 있고, 이것은 청년세대를 다른 세대와는 다른 정체성을 형성하게 하였다. 경제ㆍ정치ㆍ문화 각각의 영역에서 언급한 가치가 있는 사건들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먼저 경제분야에서는 신자유주의가 확대되었다. 1997년 말 IMF 경제위기와 이에 대한 후속조치 성격으로 등장한 IMF 체제는 한국사회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효율성과 경쟁력 제고의 시장주의 논리가 사회 전 영역에서 강조되었고 그..
2023.07.30 -
청년세대와 정치 3
2. 대중적 청년세대 담론 세대에 관한 논의, 그 중에서도 ‘청년 세대’, ‘신세대’와 관련된 논의는 과거부터 있어 왔던 보편적인 담론이다. 하지만 한국사회에서는 『88만원 세대』 이후부터는 젊은세대에 대해 부정적인 의미의 것들이 연관되게 시작하였다. ‘속물과 잉여’, ‘잉여사회’ 등이 이러한 종류의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호명은 대체로 긍정적인 의미의 것들이 많았다. 대표적인 것이 앞서 등장한〈386세대론〉으로 그들은 군부 권위주의 정권에 대항하여 한국 사회의 변화를 주도할 세대로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받았었다. 『88만원 세대』에서 88만원은 당시 비정규직 평균 임금인 119만원에서 20대가 벌어들이는 비율인 73%를 곱하여 나온 개념이다. 저서의 주된 내용은..
2023.07.30 -
청년세대와 정치 2
1. 세대론(계속) 현재 대한민국의 구성하고 있는 세대는 기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지만, 위에서 주목한 것과 같이 세대의 정체성에 있어서 역사적 경험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대한민국을 크게 변화시켰던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세대를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역사ㆍ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든 사건으로 다음 2개를 선정할 수 있겠다. 그것은 산업화와 민주화이다. 먼저 《산업화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나 ‘전후-유신 세대’ 등으로 표현된다. 이들은 베이비붐 세대로 불리는 것처럼 수적으로 다수이었기 때문에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세대이다. 일부는 권위주의 군부 정부에 대항하여 저항운동을 주도하였으나 대다수는 산업화의 대의에 순응하여 조국 근대화의 가치를 내면화하였다...
2023.07.28 -
청년세대와 정치 1
Ⅰ. 서론 임홍택 저작의 『90년생이 온다』라는 책은 기성세대 시각으로 시장에서는 소비자로, 직장에서는 관리의 대상인 부하로 새롭게 등장하게 된 90년대생을 이해하기 위해 씌여진 책이다. 이러한 책이 등장한 것은 기성새대의 입장에서는 청년세대의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이 이해하기 어려운 영역임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겠다. 위 책의 출간 이후 90년대를 이해하기 위한, 또는 90년대생의 시각에서 세상을 이해하려는 시도의 책들이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대한민국을 구성하고 있던 기존의 구성원들과는 다른 배경과 가치관을 가진 구성원들이 등장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최근 대한민국 제1야당의 당대표에 30대의 젊은 정치인이 당선되었다. 이는 20ㆍ30대의 지지에 힘입은 것으로 평가된다. 20ㆍ..
2023.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