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제정세 인식(2)
-
러시아 정치론 2
2. 공산주의적 국제주의 1917년 10월 러시아 공산주의자들의 지도자 레닌은 과거의 차르 체제를 대체 했던 허약한 내각책임제적 정부를 전복시키고 집권하였다. 이후 1919년 3월 6일 모스크바에서 그는 자본주의 제도의 전복 및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통한 완전한 전 세계적 공산주의의 실현을 위해 제3인터네셔널(이하 코민테른)이라는 국제조직을 창설했다. 코민테른에서 공산주의자들의 목표는 전 세계적 자본주의를 타도하고 지구 전체를 사회주의 체제로 만드는 것이다. 여기서 공산주의는 경제 제도 측면에서는 생산수단 분야의 사유 재산권 제도가 없는 사회를 말하고, 정치적 의미에서는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하는 체제를 말한다. 이때 레닌의 공산당 및 제국주의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그는 공산당이 노동 계급에게 그들의 진..
2023.07.16 -
러시아 정치론 1
Ⅱ. 본 론 1. 이론적 배경 웬트(Alexander E. Wendt)는 물질주의(materialism)에 기반하여 국제정치를 바라보는 이론들에 도전하는 새로운 이론의 기초를 세우고 발전시켰다. 기존 이론들이 냉전의 종식과 그로 인한 국제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내놓지 못하자 그의 이론은 국제정치 연구의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그 위상이 격상되었다. 웬츠의 핵심 주장은 다음 세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첫째, 국제관계의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물질적 힘이 아니라 관념과 인식이다. 대한민국은 핵무기를 3,000개 가지고 있는 미국보다는 핵을 10여 개 가지고 있는 북한에 더 위협을 느낀다. 이는 대한민국이 관념적으로 북한을 적, 미국을 동맹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제체제의 구조도..
2023.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