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라시아주의(2)
-
러시아 정치론 5
5. 러시아의 정체성 : 신유라시아주의 수정주의적 국제주의의 인식에서 러시아는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규정한다. 러시아 내부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정체성 논의 중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단연 ‘신유라시아주의’이다. 신유라시아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인 그 이론가인 파나린(Александр Панарин)과 두긴(Александр Дугин)의 주장을 집중적으로 확인 할 필요가 있다. 먼저 파나린은 전통적 독재 국가의 필요성, 서구에 대한 거부, 정교 정신의 복원 등을 주장했다. 그는 서구 문명과 자본주의 발전이 기술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도덕적ㆍ종교적으로 타락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서구의 위기에 대응하고자 러시아 정교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교를 통한 ‘기독교성’의 회복으로 현대사회 ..
2023.07.16 -
러시아 정치론 4
4. 수정주의적 국제주의 냉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자유주의 국제질서는 약 15년 정도 이상 없이 작동했고 영원히 지속될 것 같았다. 이러한 기대는 미국의 국력이 눈에 띄게 약해진 200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아직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완전히 무력화되거나 새로운 국제질서가 등장하지는 않았다. 그러한 대안적 국제질서를 발명하고 대체를 시도하는 국가나 세력은 존재하지는 않는다. 새롭게 급부상한 중국이나 제3세계의 국가들도 그러한 시도를 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러시아도 마찬가지이다. 러시아도 기존의 자유주의 세계 질서를 부정하거나 새로운 질서를 도입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아마도 지금 작동되는 질서가 유지되기를 원할지도 모른다. 다만, 과거의 질서가 작동되던 방..
2023.07.16